요즘에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이야기는 아마도 '난방비 폭탄' 일 겁니다. 저 역시 난방비가 기존 대비 2배가 넘어 너무 당황스러웠죠. 난방비가 올라가는 이유는 도시가스 요금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더 추워진 겨울도 한몫했죠. 집이 추워진 탓이라면 집 방향 때문인가 걱정이 되죠? 우리 집이 남향이 아니라서? 그래서 오늘은 그 궁금증을 해결해 보려고 합니다.
목차
1. 난방비 폭탄 이유(원인)는?
2022년부터 도시가스 요금은 우리가 알게 모르게 인상이 되어 왔습니다. 주택용 도시가스 인상률만 보면 약 15.9% 정도 상승했습니다. 게다가 작년보다 갑자기 추워진 겨울 날씨도 한몫을 했습니다. 더 안 좋은 소식은 추가 인상 소식까지 들린다는 것이죠.
대외적인 난방비 폭탄 원인은 전쟁으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이라는데 결론적으로 돈 없는 서민들이 힘들어진다는 것이죠. 그렇다고 방법이 뚜렷한 건 없습니다. 절약하는 것이죠. 자세한 내용은 (링크)나 글 아래 배너를 참고해주세요.
2. 우리 집은 북향인데 괜찮을까?
옛날부터 집은 남향이 좋다고 많이 들어왔습니다. 겨울에도 햇빛이 깊숙이 오래 들어와 집안이 따듯하다는 이유 때문이죠. 반대로 북향은 오히려 피해야 할 집의 방향으로 인식되어 왔죠. 당연히 햇빛이 상대적으로 거의 안 들어와 집이 추워진다는 것이죠. 따라서 사람들은 주로 남향을 그다음 동향, 서향, 북향 순서로 집 방향을 선호합니다.
하지만 이젠 일조량 때문에 선호도가 정해진다는 말은 무색해졌습니다. 사실 지금 시대와는 맞지 않는 이야기죠. 그 이유를 설명하기에 앞서 집 방향별 장단점에 대해 먼저 이야기해보겠습니다.
① 남향
아침부터 늦은 오후까지 햇빛이 잘 들어온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태양의 위치도 여름에는 높이 뜨기 때문에 햇빛의 양이 줄어들고 반대로 낮게 뜨기 때문에 햇빛이 깊숙이 오랫동안 들어와 따듯해지는 점도 장점입니다. 단점도 있습니다. 햇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커튼이 꼭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② 북향
낮에는 어둡고 겨울에는 일조량이 적어 춥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점이 장점일 수도 있는데요. 지방에 있는 세컨하우스의 경우는 주로 여름에 많이 찾기 때문에 북향을 선호하기도 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투자용 부동산으로 선호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강남에 위치한 한강뷰의 북향 아파트가 많은 점만 보아도 북향이라는 이유가 단점만은 아니기 때문이죠. 특히 요즘에는 단열이 잘 되어 있기 때문에 북향이라고 꼭 춥지만은 않습니다. 오히려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서늘하다는 이점과 더 좋은 풍경(강뷰, 바다뷰, 산뷰, 공원뷰 등)을 담기 위해 북향으로 집을 설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③ 동향
아침 일찍 해가 들어오는 대신 빨리 사라지는 점이 특징입니다. 아침 일찍 일어나기를 선호하는 분이라면 이러한 집 구조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겠죠. 장점은 여름에 상대적으로 시원하다는 점입니다. 오후에는 햇빛이 없기 때문이죠. 다만 그만큼 일조량이 부족해 겨울에는 상대적으로 춥게 느낄 수도 있습니다.
④ 서향
서향은 동향과 반대로 오전보다 오후에 햇빛이 많이 들어오는 게 특징입니다. 반대로 여름에는 오랫동안 햇빛이 들어오기 때문에 더워질 수도 있다는 게 단점이겠죠.
3. 난방비 폭탄을 막으려면?
집 방향과 상관없이 난방비 폭탄을 막으려면 무엇보다 절약 및 체계적인 단열 관리가 필요합니다. 방법부터 왜 그래야 하는지 이유까지 명확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① 무엇보다 단열이 가장 중요!
사람들이 착각하는 게 외부에서 들어오는 찬 기운을 막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것도 중요하지만 요즘에는 어느 정도 단열이 잘 된 집이 많기 때문에 집안의 데워진 열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가두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렇기 위해선 집 안 곳곳에 새어 나가는 열을 찾아야 합니다.
-창호 틈을 꼭 살펴야 합니다.
집안에서 빠져나가는 열의 주된 원인(열손실)은 외부와 가장 맞닿은 창호에서 많이 일어납니다. 가장 넓은 면이 외부와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단열 처리가 미흡할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돈이 많이 드는 오래된 새시를 교체하기보다 뽁뽁이(포장용 에어캡)를 유리면에 붙여 인위적으로 공기층을 만들거나 문풍지와 빗물 구멍을 막는 것도 방법입니다.
-실내 습도를 높이는 방법
실내 평수가 작다면 가습(가습기 사용, 물 끓이기)을 통한 온도 유지도 방법입니다. 실내 수증기가 많아지면 열의 이동이 쉬워집니다. 집안 내 골고루 온도가 잘 퍼져 평균적인 온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죠.
-집안 곳곳에 매트 설치 및 커튼 활용
앞서 이야기한 집안 내 단열이 중요하다는 말은 창문도 포함되지만 바닥에도 해당합니다. 바닥에서 데워진 열이 공중으로 분산되는 것을 최대한 막고 섬유 재질로 된 매트를 깔아 열을 가두는 것이죠. 최대한 바닥의 열을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해야 집안 내 열기가 오래 갑니다.
② 적정실내온도를 낮추고 옷을 껴입기
겨울철 적정 실내 온도는 18~20도를 권장합니다. 다만 사람에 따라 느끼는 온도 차가 있기 때문에 조절은 필요하죠. 적정 온도를 기준으로 최대한 낮춰놓고 얇은 옷을 껴입거나 양말을 신어 몸 온도를 높이는 게 중요합니다. 방을 데우는 비용보다 옷을 껴입어 몸을 데우는 비용이 덜 들기 때문이죠.
③ 제대로 된 난방 컨트롤러 작동 방법
외출 모드에 대한 의견이 상당히 많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지역난방이냐 개별 난방이냐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는 점을 잘 몰라서 하는 이야기죠.
지역난방의 경우는 외출 모드가 아닌 설정온도를 낮추는 게 더 효율적입니다. 설정온도를 낮춰 다시 온도를 높이는데 들어가는 에너지를 줄이는 방법(시간 대비 가스 소모량이 큰 편)입니다. 개별 난방의 경우는 외출 모드가 더 좋습니다.
😁읽기만 해도 인생이 달라지는 콘텐츠 모음
댓글